5. 정맥주사
1) 목적
(1) 구강섭취가 어려운 대상자의 수분, 영양 공급하기 위하여
(2) 전해질, 산, 염기 불균형 조절하기 위하여
(3) 많은 용량의 약물을 희석해서 천천히 주입하기 위하여
(4) 약물의 지속적인 혈중 농도 유지하기 위하여
(5) 응상태에서 약물의 신속한 공급하기 위하여
(6) 항생제, 항암제, 수혈 등 약물 투여하기 위하여
※ 선행지식
- 5 Right: 정확한 대상자, 정확한 약물, 정확한 용량, 정확한 경로, 정확한 시간
- 내과적 무균술
- 손 씻기: 미생물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 손소독제: 제조회사에서 권장하는 양을 사용, 손소독제 마를 때까지 마찰 - 부작용 및 합병증
- 침윤(Infiltration)
(1) 원인: 정맥벽 관통, 카테터 삽입 오류
(2) 간호
① 주사 주입 부위 확인
② 징후 발생 시 주입 중단
③ 다른 정맥 부위에 약물 주입을 다시 시작
④ 카테터 삽입 부위 움직임 제한
- 패혈증(sepsis)
(1) 원인: 카테터 삽입 시 무균술 결여, 장시간 카테터 유지
(2) 간호
① 카테터 삽입 부위를 매일 관찰
② 감염 증상을 즉시 보고
③ 카테터 삽입과 수액 주입전 무균술 준수
- 정맥염(Phlebitis)
(1) 원인: 바늘 or 카테터로 인한 기계적인 손상, 약물에 의한 화학적 손상, 패혈
(2) 간호
① 즉시 주입 정지
② 다른 정맥 부위에 삽입 후 약물 주입
- 혈전(Thrombus)
(1) 원인: 바늘 또는 카테터로 인한 조직 손상
(2) 간호
①즉시 주입을 중단
② 다른 정맥 부위에 재삽입 후 약물 주입
③ 해당 부위를 마사지 or 문지르지 않도록 주의
- 순환기 쇼크(Speed shock)
(1) 원인: 약물 주입속도가 빠른 경우
(2) 간호
① 약물 주입 즉시 중단
② 의사에게 순환기 쇼크의 증상을 즉시 보고
③ 환자 상태 진전되면 v/s 측정 및 모니터링 하며 약물 재투여
- 체액 과부담(Fluid overload)
(1) 원인: 과다 주입된 약물의 양
(2) 간호
① 증상 발생 시 약물의 주입 속도를 낮춤
② 즉시 의사에게 보고
③ v/s 측정
④ 필요하다면 Central venous pressure(중심정맥압) 측정
- 공기색전(Air embolism)
(1) 원인: 카테터를 통해 공기가 정맥으로 들어옴
(2) 간호
① 주입 선으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filter 수액 세트를 사용
② 트렌델렌버그 체위를 취하도록 함
③ v/s 측정
④ 즉시 의사에게 보고 - 용량 계산
- 분당 방울수 (gtt/min) = 총주입량(ml) x drip factor(=ml당 방울수) / 총 주입시간(분)
- 성인: drip factor = 20gtt/mL
- 소아: drip factor = 60gtt/mL - 주의 사항
- 정맥 수액 유지
① 카테터와 수액 세트는 72시간내에 교환한다. (중심정맥관, TPN이나 mix 수액은 24시간마다 교환)
- 최소 2시간마다 수액이 잘 들어가는지 확인하며, 삽입 부위의 부종, 통증, 침윤을 확인한다.
- 주기적으로 주입속도를 점검하여 부적응 발생을 피한다.
- 수액 세트가 주입되고 있 부위의 갑작스러 움직임이나 꼬임 등은 피한다.
- 수액 세트가 눌리거나 당겨져 있는 등의 긴장은 피한다.
- 수액 세트가 주사 부위보다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2) Check list
번호 | 수행 항목 |
1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2 | 투약처방(투약 카드 또는 컴퓨터 출력물 등)과 5 Right를 확인한다. |
3 | 투약처방을 보고 정확한 수액과 수액주입세트를 준비한다. |
4 | 수액의 유효일자, 이물질 유무 등을 확인한다. |
5 | 수액 백에 날짜, 등록번호, 대상자 이름, 수액명, 용량, 주입속도 등이 적혀 있는 라벨을 붙인다. |
6 | 수액과 수액 세트를 연결한다. 1) 수액백의 고무마개를 소독솜으로 닦은 후 수액세트를 꽂아 점적통의 1/2 정도를 수액으로 채운다. 2) 수액백을 높이 들고 수액을 통과시켜 튜브의 공기를 빼낸 다음 조절기를 잠근다. |
7 |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angio catheter, tourniquette, 소독솜, 반창고 or 투명 드레싱, tray, 손소독제) |
8 |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9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10 | 대상자의 이름, 생년월일 등을 개방형으로 질문하고, 입원팔찌에 있는 등록번호와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
11 | 투약의 목적과 약물의 효과, 주의사항,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투약전 대상자의 알러지 유무 확인) |
12 | 침상 옆의 수액 걸대에 수액백을 걸고 수액세트의 끝을 대상자에게 주사할 부위 가까이에 둔다. |
13 | 대상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고 팔을 심장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한 다음 정맥의 상태를 확인한다. |
14 | 정맥 상태가 양호한 부위보다 12~15cm 위쪽을 지혈대로 묶어 삽입할 카테터의 길이보다 정맥이 곧고 길게 두드러진 부위를 주사부위로 선정한다. |
15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16 | 소독솜으로 천자할 정맥 주사 부위를 안에서 밖으로 5~8cm 정도 둥글게 닦는다. |
17 | 정맥 천자할 부위의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2~3cm 떨어진 부분의 피부를 엄지손가락으로 팽팽히 잡아당긴 다음 반대손으로 카테터의 사면이 위로 오도록 잡고 15~30도로 말초에서 중심방향으로 혈류방향을 따라 카테터를 정맥내로 삽입한다. |
18 | 카테터 내로 혈액이 역류되면 카테터의 중심부를 잡고 카테터의 삽입각도를 약간 낮추면서 카테터를 혈관으로 진입시키면서 카테터 길이만큼 탐침을 조금씩 빼낸다. |
19 | 카테터가 완전히 삽입된 후 카테터를 잡지 않은 손으로 지혈대를 푼다. |
20 | 한 손으로 카테터가 삽입되어 있는 부분의 끝 부위를 눌러 주어 혈액이 카테터를 통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면서, 다른손으로 탐침을 재빨리 제거한 후 tray에 둔다. |
21 | 탐침을 제거한 손으로 수액세트의 튜브를 잡아서 카테터의 중심부와 연결한 다음 수액세트의 조절기를 풀어 수액의 주입을 확인한다. |
22 | 수액 주입 여부와 부종, 통증 등 침윤 증상이 있는지 카테터 삽입 부위의 조직을 관찰한다. ※ 참고: 의식이 있는 환자에게 통증이 있는지, 불편한 점이 있는지 확인한다. |
23 | 카테터에서 손을 뗀 다음 반창 또는 투명 드레싱으로 카테터 삽입 부위를 고정한다. |
24 | 처방에 따라 주입액의 속도를 조절한다. |
25 | 고정용 반창고나 드레싱에 카테터 삽입 날짜와 시간, 카테터의 크기를 기입한다. |
26 |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돕는다. |
27 | 주사바늘은 뚜껑을 되씌우지 않은 채 손상성 폐기물 전용 용기에 버리고 사용했던 소독솜과 주사기는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
28 | 물과 비누로 손위새을 실시한다. |
29 |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5right 2) 필요시 투약목적 3) 대상자의 반응 4) 투약 못 하였다면 해당이유 |
※ Reference
기본간호학 I. 수문사 송경애 외
2021 핵심 기본간호술기. 대한간호협회 간호인력취업교육센터
'간호학 > 핵심기본간호술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근육주사 (Intra muscular) (0) | 2023.08.10 |
---|---|
2. 감염관리: 손 위생 (0) | 2023.07.24 |
1. 활력징후 측정 (Vital sign check) (0) | 202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