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사18

혈전용해제 1 혈전 용해제(Thrombolytics)는 혈전을 용해하여 혈관을 다시 개통시키는 약물로, 주로 급성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폐색전증 등의 응급 치료에 사용된다. 대표적인 혈전 용해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1.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tPA,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계열tPA는 혈전 내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을 플라스민(plasmin)으로 활성화시켜 혈전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알테플라제(Alteplase, rtPA)가장 널리 사용되는 tPA 계열 약물급성 허혈성 뇌졸중(발병 4.5시간 이내), 급성 심근경색, 폐색전증 치료에 사용테넥테플라제(Tenecteplase, TNK-tPA)알테플라제보다 반감기가 길어 1회 볼루스(단회 정맥 주사)로 투여 가능주로 급.. 2025. 2. 7.
심장수술 및 재활 2 (간호) 심장수술 환자의 간호 1) 수술 전 간호 ⦁ 심리간호 입원 후 환자의 임상적 문제점이 확인되고 수술이 결정되면 곧 수술 전 간호계획을 세우고 시행함. 심장질환 환자 특유의 공포심을 가지고 있어 이는 수술 후의 정상적인 생활의 가능성 여부와 재발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수술에 따르는 경제적 문제 등 헤아릴 수 없이 깊은 심적 갈등과 불안에서 야기됨, 간호사는 공포의 원인을 파악하여 대상이 구체적인 것에 대해서는 올바른 설명으로 이해를 촉구하고, 불확실한 불안에 대해서는 깊은 신뢰와 자신감 있는 태도를 보여줌으로써 환자로 하여금 수술에 대한 믿음을 지니게 함. ⦁ 환자교육 일반적으로 심장수술을 받는 환자들은 자신의 생리적 상태와 수술에 관한 사항, 회복기 동안에 경험하게 될 새로운 문제들에 대하여 매우 민감.. 2023. 11. 10.
심장 수술 및 재활 1. 심장수술 1) 체외순환 심장수술 (1) 저체온술 저체온술이란 살아 있는 조직은 체온의 하강에 비례하여 조직의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킨다는데 이론적 근거를 두고 환자의 체온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수술하는 방식. 체외순환 방법으로 개심술을 시행할 때는 순환보조를 위해 저체온술(hypothermia)을 함께 적용. Ex) 체온이 30℃ 정도로 하강되면 정상체온에 비해 조직의 산소 소비량이 50%가 감소됨. 그러므로 체외순환 방식으로 심장수술을 할 때는 일반적으로 30℃ 내외 로 체온을 하강시킴. 하지만 26℃ 이하에서는 심실세동, 심정지의 위험이 따르니 주의 (2) 심폐우회술의 주요 장치 및 기능 ① 펌프 심폐우회술 회로는 환자의 심장으로 돌아오는 정맥혈류를 받아들인 다음 인공산화기에서 가스교환을 거친 후 이.. 2023. 11. 10.
응급약물 2 (심박출 및 혈압 조절 약물) 응급약물 정의 : 심정지나 부정맥에 사용하는 약물과 심박출과 혈압을 조절하는 약물, 그리고 기타 약물로 분류할 수 있다. 약물명 용법 및 용량 Calcium gluconate [작용기전 및 효능 효과] 심근의 수축력 향상 (Hyperkalemia, hypocalcemia, calcium chnnel blocker toxicity) [용량 및 투여경로] 0.5ml/min 이하로 서서히 투여 [부작용] 주위 조직으로 새어나가면 괴사가 생기므로 피하나 근육주사는 금기이다. NaHCO3와 혼합할 경우 calcium이 침전 [금기] 심부전증, 강심배당제 투여중, 신부전의 저칼슘혈증 Dopamine [작용기전 및 효능 효과] 저농도에서 용량 의존성 심근수축 촉진작용 (베타-수용체 촉진) 고농도에서는 혈관 수축 작용.. 2023. 1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