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간호지식

혈전용해제 1

by 짱짱윤 2025. 2. 7.

혈전 용해제(Thrombolytics)는 혈전을 용해하여 혈관을 다시 개통시키는 약물로, 주로 급성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폐색전증 등의 응급 치료에 사용된다. 대표적인 혈전 용해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제(tPA,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계열

tPA는 혈전 내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을 플라스민(plasmin)으로 활성화시켜 혈전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 알테플라제(Alteplase, rtPA)
    • 가장 널리 사용되는 tPA 계열 약물
    • 급성 허혈성 뇌졸중(발병 4.5시간 이내), 급성 심근경색, 폐색전증 치료에 사용
  • 테넥테플라제(Tenecteplase, TNK-tPA)
    • 알테플라제보다 반감기가 길어 1회 볼루스(단회 정맥 주사)로 투여 가능
    • 주로 급성 심근경색 치료에 사용됨
  • 레테플라제(Reteplase, rPA)
    • 알테플라제보다 작용 시간이 길고, 빠르게 혈전 용해
    • 급성 심근경색 치료에 주로 사용됨

2. 스트렙토키나제(Streptokinase, SK)

  • β-용혈성 연쇄상구균에서 유래한 단백질로, 플라스미노겐을 활성화하여 혈전을 분해
  • 급성 심근경색, 폐색전증 치료에 사용되지만, 면역 반응(항체 생성) 위험이 있어 반복 투여가 어렵고, tPA 계열에 비해 선택성이 낮아 출혈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음

3. 유로키나제(Urokinase, UK)

  • 신장에서 분비되는 효소로, 직접 플라스미노겐을 활성화하여 혈전을 용해
  • 심부정맥혈전증(DVT), 폐색전증, 중심정맥관 폐색 치료에 사용됨
  • tPA보다 혈전 특이성이 낮아 전신 출혈 위험이 높음

4. 아니스트렙타제(Anistreplase, APSAC, Anisoylated Plasminogen Streptokinase Activator Complex)

  • 스트렙토키나제와 플라스미노겐을 결합한 형태로, 한 번의 볼루스 투여로 작용 가능
  • 급성 심근경색 치료에 사용되지만, 스트렙토키나제와 마찬가지로 면역 반응이 생길 위험이 있음

혈전 용해제 사용 시 주의사항

혈전 용해제는 강력한 혈전 제거 효과를 가지지만, 출혈 위험이 크기 때문에 적응증과 금기증을 철저히 고려해야 한다.

사용 적응증

  • 급성 허혈성 뇌졸중 (4.5시간 이내)
  • 급성 심근경색 (12시간 이내, PCI 불가능한 경우)
  • 대량 폐색전증 (혈역학적 불안정한 경우)

금기증

  • 최근(3개월 이내) 심각한 출혈성 질환(뇌출혈, 위장관 출혈 등)
  • 최근 대수술 또는 심한 외상
  •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185/110 mmHg)
  • 출혈성 소인(예: 혈소판 감소증, 항응고제 복용 중 INR≥1.7)

혈전 용해제는 빠른 치료가 중요한 질환에서 매우 효과적이지만, 출혈 위험이 동반되므로 사용 전에 신중한 평가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