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

응급약물 2 (심박출 및 혈압 조절 약물) 응급약물 정의 : 심정지나 부정맥에 사용하는 약물과 심박출과 혈압을 조절하는 약물, 그리고 기타 약물로 분류할 수 있다. 약물명 용법 및 용량 Calcium gluconate [작용기전 및 효능 효과] 심근의 수축력 향상 (Hyperkalemia, hypocalcemia, calcium chnnel blocker toxicity) [용량 및 투여경로] 0.5ml/min 이하로 서서히 투여 [부작용] 주위 조직으로 새어나가면 괴사가 생기므로 피하나 근육주사는 금기이다. NaHCO3와 혼합할 경우 calcium이 침전 [금기] 심부전증, 강심배당제 투여중, 신부전의 저칼슘혈증 Dopamine [작용기전 및 효능 효과] 저농도에서 용량 의존성 심근수축 촉진작용 (베타-수용체 촉진) 고농도에서는 혈관 수축 작용.. 2023. 10. 6.
응급약물1 (arrhythmia & cardiac arrest) 응급약물 정의 : 심정지나 부정맥에 사용하는 약물과 심박출과 혈압을 조절하는 약물, 그리고 기타 약물로 분류할 수 있다. 약물명 용법 및 용량 Adenosine [작용기전 및 효능 효과] ★ 부정맥치료(상심실성 빈맥의 치료) 근무력증, 심부전, 만성간염의 간기능 개선, 두부외상 후유증, 조절성 안정피로 [용량 및 투여경로] ★ 3mg을 신속히 IV 투여 후, 상심실성 빈맥이 소실되지 않으면 6mg을 신속히 IV 투여함 투여 후에도 상심실성 빈맥이 1~2분 내에 소실되지 않으면 12mg 을 신속히 IV 투여함. (성인 1회 5~20mg을 1일 1~2회 피하, 근육 또는 정맥주사 -> 정맥 주사인 경우 NS or 포도당액 10~20ml mix 후 3~5분간 걸쳐서 천천히 투여 가능) [부작용] 서맥, 홍조,.. 2023. 10. 6.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한국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환자를 평가할 때 증상을 중심으로 분류하는 도구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따라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1차 고려사항과 증상에 따라 특별히 적용해야 할 2차 고려사항으로 환자의 중증, 긴급도를 결정하게 된다. 응급환자 5단계 분류 by. 보건복지부 1등급(소생) 생명 또는 사지에 악화될 위협이 있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상태. 2등급(긴급) 생명 또는 사지에 잠재적인 위협이 있어 의료지시에 따라 빠른 처치가 필요한 상태 3등급(응급) 응급처치가 필요한 심각한 문제로 진행할 수 있는 잠재성이 있는 상태 4등급(준응급) 한두 시간 안에 치료 혹은 재평가하면 되는 상태 5등급(비응급) 급성기 증상이지만 긴급하지 않.. 2023. 10. 5.
갑상선 암; thyroid cancer "갑상선 암; Thyroid cancer" "갑상선의 정의 갑상선은 후두와 기관 앞에 위피하고 있으며 몸에서 가장 큰 적갈색의 내분비샘으로 무게는 약 20g~30g 정도 된다. 앞에서 보면 나비 모양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한 개씩의 엽(lobe)이 있으며, 이는 잘룩(isthmus)으로 연결되어 있다. 갑상선은 위아래 갑상동맥과 하갑상선동맥에 의해 혈액이 공급된다. 갑상선은 갑상선 호르몬과 칼시토닌(calcitonin)을 만들고 분비한다. 갑상선 형태 정상 갑상선은 나비 모양으로 왼엽, 오른엽, 잘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게는 12~20g 정도이다. 목 피부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고, 그 뒤로는 후두와 기관이 자리 잡고 있다. 갑상선의 뒤쪽에는 부갑상선 4개가 붙어 있다. 갑상선을 현미경으로 들여다.. 2023.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