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RCP 시술 과정
1️⃣ 진정 및 국소 마취: 환자는 진정제(미다졸람, 프로포폴) 및 국소 마취(리도카인)를 투여받음.
2️⃣ 내시경 삽입: 십이지장 내시경(duodenoscope)을 입을 통해 삽입하여 십이지장 유두부(ampulla of Vater)를 찾음.
3️⃣ 조영제 주입: 담관 및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X-ray(플루오로스코피) 촬영.
4️⃣ 치료적 처치 (필요 시)
- 담석 제거: 담관 내 담석 제거
- 담관 확장 및 스텐트 삽입: 협착된 담관을 확장하거나 배액 유지를 위해 스텐트 삽입
- 조직 검사: 종양이 의심될 경우 조직 검사를 시행
2. ERCP 적응증 (시술이 필요한 경우)
🔹 담석증 (담관결석, CBD stone) → 담관에 담석이 있을 경우 제거
🔹 담관염 (Cholangitis) → 담즙 배액이 막혀 발생하는 감염
🔹 췌장염 (Pancreatitis, 담석성 췌장염) → 담석으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췌장염
🔹 담관 및 췌관 협착 (Stricture) → 양성(염증) 또는 악성(암) 협착 시
🔹 담관암, 췌장암 (Cholangiocarcinoma, Pancreatic cancer) → 스텐트 삽입으로 담즙 배액 유지
🔹 담관 손상 (Post-op bile leak) → 수술 후 담즙 누출 시 배액
3. ERCP 시술 후 관리 및 합병증
✅ 시술 후 관리
✔ 금식 유지 (수 시간~하루) → 장 운동이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
✔ 복통 및 구역감 모니터링
✔ 췌장염 예방 위해 수액 공급 & 금식 유지
⚠️ 주요 합병증
🚨 급성 췌장염 (510%)
- 조영제 및 내시경 삽입으로 인해 췌관 자극 발생
- 예방: 시술 후 금식, 수액 공급, NSAIDs(인도메타신) 직장 투여
🚨 출혈
- 십이지장 유두부 절개술 후 발생 가능
- 예방: 내시경적 지혈술(클립, 에피네프린 주사 등)
🚨 담관염 및 패혈증
- 시술 후 담관 감염으로 고열 및 패혈증 발생 가능
- 예방: 항생제 투여
🚨 천공 (Perforation)
- 내시경 조작 중 십이지장 천공 가능 → 응급 수술 필요
4. ERCP vs MRCP 차이점
비교 항목ERCPMRCP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
목적 | 진단 + 치료 가능 | 진단만 가능 |
방법 | 내시경 + 조영제 X-ray 촬영 | MRI 촬영 |
침습성 | 침습적 (출혈, 감염 위험) | 비침습적 (안전함) |
사용 예시 | 담석 제거, 스텐트 삽입 등 치료 목적 | 담관 및 췌관 구조 평가 |
합병증 위험 | 있음 (췌장염, 감염 등) | 없음 |
✅ 결론: 치료가 필요한 경우 ERCP, 단순한 진단 목적이면 MRCP가 적합!
'간호학 > 간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BC 검사결과 (0) | 2025.02.27 |
---|---|
Urine culture (1) | 2025.02.27 |
3세대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s) 계열 항생제 (0) | 2025.02.27 |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s) 계열 항생제 (0) | 2025.02.27 |
혈전용해제 2 (0) | 2025.02.10 |